2호
U-CULTURE
[교내공간 탐방] 융합대학의 특별한 공간 라운지와 스튜디오의 모든 것!
2024-10-31


  이번 <교내공간 탐방>에서는 융합대학 교학행정실의 지수민, 최태경 선생님과 함께 융합대학의 다양한 업무학생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융합대학 교학행정실은 USG공유대학의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 학사 운영, 장비 대여 등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복합문화공간인 학생라운지 운영까지 폭넓게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RIS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창의력과 취업 역량 강화를 돕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융합대학의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들이 학생들에게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자세한 내용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Q. 간단한 본인소개와 융합대학 교학행정실에서는 무슨 업무를 하고 있는지 말씀해주세요.

A. 네 저는 융합대학 교학행정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수민입니다. 

    융합대학 교학행정실에서는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편성하며, 과목 운영 관리, 시험 진행까지 맡고 있습니다. 강사 관리와 학사 운영 전반도 중요한 부분인데요, 예를 들어 학생들의 학적 관리나 졸업 사정을 지원합니다. 또한, 장비와 기자재 대여 및 관리, 그리고 출장이나 강사료 같은 행정 업무도 저희가 수행하고 있습니다.


USG공유대학 라운지에서 스터디 중인 학생들


Q. 융합대학 소속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융합대학 특성상 온라인 강의가 많기 때문에 노트북과 태블릿(TAP)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복수전공 학점을 취득하면서 생기는 중복 학점 관련 문의를 처리하는 것도 중요한 지원 업무 중 하나입니다.


Q. 학사 일정이나 공지 사항은 주로 어떻게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있나요?

A. 학생들과의 소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신속하게 안내를 드리거나, USG 공유대학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해 공지사항을 전달합니다.


[ 융합대학의 현황 ]

Q. 현재 융합대학의 재학생 수는 어느 정도이며,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나요?

A. 2022학번부터 2024학번 현재까지 총 206명의 재학생이 있습니다. 융합대학에서는 복수전공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데요, 미래모빌리티전공과 저탄소그린에너지전공 운영을 직접 맡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경상국립대, 창원대, 경남대와 공동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기계설계해석, E-Mobility, 지능로봇, 스마트제조ICT, 스마트도시·건설, 공동체혁신 등 6개의 전공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USG공유대학 크로마키 스튜디오


Q. 융합대학에서 관리하는 주요 공간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스튜디오나 라운지는 주로 어떻게 활용되나요?

A. 스튜디오에는 강의 콘텐츠 촬영에 필요한 장비가 모두 갖춰져 있습니다. 

  융합대학 라운지는 국제관(43호관)건물 3층, 301호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시 RIS사업관련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산하의 대학교육혁신본부에서 융합대학 학생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및 학습공간 구성을 목적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휴게 및 협업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생라운지는 2022.06월 기존 43호관 공간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지어졌으며 현재 81평 정도 규모에 스터디룸 2개, 오픈형 테이블 2개, 단독형 책상 28개, 쇼파베드 2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융합대학 전공을 하는 많은 학생들이 수시로 찾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USG 공유대학 라운지


Q. 공간 사용에 필요한 절차나 규칙이 있다면 알려주시겠어요?

A. 스튜디오 같은 경우 주로 강의 콘텐츠 촬영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직접 대여한 적은 없어요. 공간을 이용하려면 담당자에게 미리 연락해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가능할 경우 공문을 통해 예약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학생들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

Q.  학생들의 창의력과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해 제공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이벤트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A. 비교과 프로그램은 주로 RIS(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미래모빌리티사업단, 저탄소그린에너지사업단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역량 강화와 취업 준비를 위해 데일리카네기코스, 진로캠프, 우수기업 탐방 프로그램, 학내 인턴십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